노 태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 태공은 주 문왕의 손자이자 주 무왕의 동생이며, 주공 단의 아들이다. 주공 단이 섭정으로 주나라에 남았기 때문에, 노나라에 파견되어 노공이 되었다. 관숙 선과 채숙 도의 반란을 진압하고 노나라의 풍습을 개정했으며, 기원전 997년에 아들 고공에게 군주 자리를 물려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1세기 출생 - 미중
미중은 현재 내용이 없는 빈 문서이다. - 기원전 11세기 출생 - 미자
미자는 상나라 주왕의 이복형으로 폭정에 간언을 하다 받아들여지지 않자 종묘사직을 보존하려 노력했으며, 주나라 멸망 후 송나라의 초대 군주로 봉해져 상나라 제례를 계승하고 백성을 다스려 후대에 칭송받았다. - 기원전 10세기 사망 - 여로보암
여로보암은 느밧의 아들이자 북이스라엘의 초대 왕으로, 솔로몬의 강제 노역 감독관이었으나 왕이 될 것이라는 예언을 듣고 망명 후 북이스라엘 왕이 되어 금송아지 숭배 장려, 비레위인 제사장 임명 등 종교 정책을 변경하여 이스라엘을 우상 숭배의 길로 이끌었다. - 기원전 10세기 사망 - 르호보암
르호보암은 솔로몬의 아들이자 유다 왕국의 초대 왕으로, 강압적인 정책으로 이스라엘 왕국을 분열시키고 이집트의 침공으로 국력이 쇠퇴했다.
노 태공 | |
---|---|
기본 정보 | |
이름 | 노 태공 (魯太公) |
출생 | 기원전 1068년 |
사망 | 기원전 998년 |
재위 | 기원전 1043년 – 기원전 998년 |
칭호 | 노나라의 통치자 |
아버지 | 주공단 |
자녀 | 노 고공 노 양공 |
시호 | 태공 (太公) |
가문 | 희 (姬) |
왕조 | 노 (나라) |
정보 없음 | |
씨 | 희 (姬) |
이름 | |
이름 | 백금 (伯禽) |
2. 생애
주나라의 정치가 주공 단(周公旦)의 장남으로, 아버지 주공 단이 노나라의 영주로 봉해졌으나 주 성왕을 보좌하기 위해 주나라 수도 호경에 남았다. 이에 아들 백금이 노나라로 보내져 노공(魯公)이 되었다.
노나라 군주 즉위 후, 관숙 선(管叔鮮)과 채숙 도(蔡叔度)가 주공의 정치에 불만을 품고 주왕의 아들 무경(武庚)을 포섭하여 삼감의 난을 일으켰다. 아버지 주공 단이 반란군을 진압하여 노나라에는 큰 문제가 없었다. 노 태공 백금은 상(喪)을 지내는 기간을 3년으로 정하는 등 노나라 문화 발전에 기여하였다고 한다.
기원전 998년경 사망하여 백금의 아들 고공(考公) 추(酋)가 노나라 군주로 즉위하였다.
2. 1. 초기 생애
주나라의 정치가 주공 단(周公旦)의 장남으로, 문왕의 넷째 아들이자 초대 무왕의 동복 동생이다.[1] 아버지 주공 단이 노나라의 영주로 봉해졌으나, 주 성왕을 보좌하기 위해서 주나라의 수도인 호경에 남았다. 아들인 백금이 노나라로 보내졌고, 백금이 노공(魯公)이 되었다.노나라의 군주로 즉위한 후 (기원전 1042년?) 관숙 선(管叔鮮)·채숙 도(蔡叔度)를 지휘관으로 하는 반란이 국내에서 일어났다.[1] 이들은 주나라 왕의 아들 무경(武庚)을 포섭하여, 삼감의 난을 일으켰으나, 아버지 주공 단이 반란군을 진압하여, 노나라에는 큰 문제가 없었다. 노 태공 백금은 상(喪)을 지내는 기간을 삼년으로 정하는 등 노나라의 문화 발전에 기여하였다고 한다.[1]
기원전 998년경에 사망하여, 백금의 아들 고공(考公) 추(酋)가 노나라 군주로 즉위하였다. 기원전 997년에는 군주의 자리를 아들 "'''고공'''"에게 물려주었다.[1]
2. 2. 노나라 통치
주나라의 정치가 주공 단(周公旦)의 장남으로, 아버지 주공 단이 노나라의 영주로 봉해졌으나 주 성왕을 보좌하기 위해 주나라 수도 호경에 남았다. 이에 아들 백금이 노나라로 보내져 노공(魯公)이 되었다.노나라 군주 즉위 후, 관숙 선(管叔鮮)과 채숙 도(蔡叔度)가 주공의 정치에 불만을 품고 주왕의 아들 무경(武庚)을 포섭하여 삼감의 난을 일으켰다. 아버지 주공 단이 반란군을 진압하여 노나라에는 큰 문제가 없었다. 노 태공 백금은 상(喪)을 지내는 기간을 3년으로 정하는 등 노나라 문화 발전에 기여하였다고 한다.
기원전 998년경 사망하여 백금의 아들 고공(考公) 추(酋)가 노나라 군주로 즉위하였다. 기원전 1042년경 노나라 군주 취임 후, 관숙선·채숙도를 지휘관으로 하는 반란을 진압하고 노나라를 평정하여 3년상을 정하는 등 노나라 풍습을 개정했다고 한다.[5] 기원전 997년에는 군주 자리를 아들 "'''고공'''"에게 물려주었다.[5]
2. 3. 사망과 계승
주나라의 정치가 주공 단(周公旦)의 장남으로, 아버지가 노나라의 영주로 봉해졌으나 주 성왕을 보좌하기 위해 주나라 수도 호경에 남았다. 이에 아들 백금이 노나라로 보내져 노공(魯公)이 되었다.기원전 998년경 사망하여, 백금의 아들 고공(考公) 추(酋)가 노나라 군주로 즉위하였다.[1]
참조
[1]
문서
"Bo" refers to the fact he was the elder son of his family. For the translation of this title, see [[Fengjian]].
[2]
서적
Present Day Political Organization of Chin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4-15
[3]
웹사이트
P.492-3. Present Day Political Organization of China
http://www.forgotten[...]
2016-05-20
[4]
웹사이트
Present day political organization of China
https://archive.org/[...]
[5]
서적
Present Day Political Organization of Chin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4-15
[6]
서적
Qin ding da Qing hui dian (Jiaqing chao)0
https://books.google[...]
[7]
서적
新清史
https://books.google[...]
朔雪寒
2015-08-21
[8]
웹사이트
曝書亭集 : 卷三十三 -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http://ctext.org/wik[...]
[9]
웹사이트
什么是 五经博士 意思详解 - 淘大白
http://www.taodabai.[...]
2016-06-19
[10]
서적
池北偶談
https://books.google[...]
朔雪寒
2014-09-03
[11]
서적
熙朝新語
https://books.google[...]
朔雪寒
2014-09-10
[12]
웹사이트
【从世袭翰林院五经博士到奉祀官】_三民儒家_新浪博客
http://blog.sina.com[...]
[13]
문서
중국학자 서원고(徐元誥)의 저서 국어집해(國語集解) 149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